X

QUIZ

한국고용정보원은 AI의 발전으로 인해 2016년 국내 400여 개의 직업 중 8년 내 사라질 직업들을 발표했습니다. 그렇다면 직업들 중에서 사라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직업은 무엇일까요?

① 청소부, 주방보조원
② 변호사
③ 패스트푸드원
④ 항공기 조종사

응모기간 : 2020년 6월 30일까지
응모방법 : 정답과 핸드폰 번호를 seulhyekim@gist.ac.kr로 보내주세요.
추첨을 통해 20명에게 1만원 상당의 모바일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상품발송 : 응모마감 후 일괄 전송

지스트에서 인공지능을 배우다

전문구 교수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AI대학원(학과) 겸임교수)
Education
2001 Ph.D. in Scientific Compu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1999 M.S. in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1988 B.S.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Experience
2019~Present Director, Korea, Culture Tech. Institute, GIST
2017~2018 Chair, School of EECS, GIST
2010~2012 Director, Business Incubator Center, GIST
2005~Present Assistant, Associate, Full Professor, School of EECS, GIST
인공지능(EC 4209/AI 5209) 강의는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인공지능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인공지능에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에이전트에 기반한 인공지능을 공부합니다. 궁극 적으로는 지능을 가진 로봇과 같은 물리적인 실체 혹은 추천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설계하는 기본 원리 를 배운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에이전트는 센서를 통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목적을 이루기 위 해 합당한 출력을 환경으로 보냅니다. 에이전트의 목적은 응용에이전트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는 승 객의 목적지까지 법을 준수하며 안전하고 편안하고 경제적으로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알파고나 체스 같은 게임 은 상대방을 이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이전트는 나무 데이터구 조나 그래프 데이터구조에서 답을 찾고 찾는 행위를 계획하는 능력과 여러 가지 불완전성에서 오는 데이터의 불확실 성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좀 더 똑똑한 에이전트가 되기 위해서는 데이터나 경험으로부터 학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이 현재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계학습/딥러닝 분야가 되겠습니 다. 기계학습으로 데이터를 분류하고(classification), 군집화하고(clustering), 시행착오로 학습을 강화하는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에 대해서 공부를 합니다. 현재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이 질병 진단 및 예측과 신약 설계, 무 인자동차, 영상/음악 제작 등 수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과목은 인공지능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 며 다른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과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강의 정보
Classification : Graduate School
Course No. : AI5209-01
Hrs:E:Credits : 3/0/3
Instructor : Jeon, Moon-Gu

Lecture Language : English
Textbook & References : “Artificial Intelligence : A
Modern Approach (3rd edition)(2009) by Stuart
Russell, Peter Norv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