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우리 사회에 씨를 뿌리고 물과 거름을 주어 새로운 꽃을 피우고
지스트의 향기를 퍼뜨리자'는 이름 뜻처럼 지식나눔 프로그램, 사회공헌 아카데미 프로그램,
봉사활동 활성화 프로그램, 채움 프로그램 등 지스트의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각종
활동을 진행 중인 지스트 사회공헌단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수집된 개인정보는 선물 발송을 위한 용도 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발송 후 바로 폐기됩니다.
고등광기술연구소, 초강력 레이저 플라즈마 응용기술 연구 착수
고등광기술연구소 연구진이 ‘2021년 방위사업청 재원’을 통해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에 선정돼, 향후 5년간 ‘전자장비 무력화용 초강력 레이저 및 레이저 플라즈마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고등광기술연구소는 ‘초강력 레이저 플라즈마 응용 연구센터(PAUL center)’ 개소식을 열고 미래 스마트 국방기술의 요체로 주목받고 있는 초강력 레이저 플라즈마 응용기술 연구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연구진은 기초과학적인 원리 증명 수준에 머물던 초강력 펨토초 레이저 플라즈마 방어무기 기술을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를 응용하면 정밀한 집속 장치 없이 레이저 진행 경로 내의 소형 드론, 미사일 센서 등을 손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지스트-MIT,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워크숍 개최
인공지능 분야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인 지스트와 MIT가 공동 연구 중간 점검과 향후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MIT CSAIL 현지에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질의응답 및 특이사항 논의 등을 통해 공동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했다.
지스트와 MIT의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연구소(CSAIL)’는 오는 2025년까지 총 5년간 200억 원 규모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연구 협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총 6건의 연구과제를 선정해 진행하고 있다. 또한 양 기관은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대학원생 및 박사 후 연구원(Post-Doc.) 교류를 통해 AI 분야 전문 인력 양성에도 협력하고 있다.
기초교육학부 김희삼 교수, 대통령상 수상
기초교육학부 김희삼 교수가 ‘제11회 인구의 날 기념식’에서 저출생 심화로 인해 초래된 심각한 인구 위기의 원인 탐구 및 그 해결을 위한 국민 인식 제고에 이바지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KDI(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재직 시절부터 저출생, 고령화, 교육, 노후 보장, 세대 간 상생 등 우리나라의 주요 사회적 난제에 관심을 가져온 김 교수는 최근에는 인구 위기,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의 변화 방향, 교육격차 심화, 사회이동성 및 사회자본 약화에 대한 해법 등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와 그 해결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희삼 교수는 “극저출생 문제의 해법은 인구 위기의 심각성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기득권을 가진 기성세대가 사회적 염치를 갖는 것에서 출발한다”며 “앞으로 우리 사회의 난제 해결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지스트, 과기부-광주광역시 지원 '지역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주관
지스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광역시가 지원하는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참여한다. 해당 프로젝트의 신규 과제 중 하나인 ‘AI 기반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융·복합 문화 스튜디오 조성’ 과제를 위해 앞으로 5년간(2022~2026년) 총 10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인공지능·문화기술·오디오 지능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협업할 예정이다. 향후 메타버스 등 AI 기반 R&D로 지역 신산업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기부 주관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선정
지스트가 중소벤처기업부의 2022년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사업비 총 85억을 확보하고, 프랑스 다쏘시스템(Dassault Systemes), 미국 앤시스(Ansys), 독일의 지멘스(SIEMENS) 등 세계적 기업들과 함께 창업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지스트 기업지원센터는 올해 12월까지 첨단 제조 및 자동화, 건강·진단 분야 창업기업 60여 곳을 지원하기 위해 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투자조직 구성 및 투자금 확보를 비롯해 기업의 글로벌 성장을 돕기 위한 다양한 글로벌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국내 1위 · 세계 6위 달성
‘2023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에서 지스트가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 국내 1위(세계 6위)로 평가됐다.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는 해당 대학 연구자들의 논문이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얼마나 많이 인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특히 대학의 평균적인 연구실적과 해당 분야의 다른 연구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평가 항목으로 꼽힌다.
지스트는 2008년 이후 해당 부문에서 15년 연속 국내 1위로 평가됐으며, 세계 대학 중에서도 줄곧 최상위인 2~6위권을 기록해 세계 TOP 10을 유지하는 등 세계 정상급 연구 역량을 인정받았다.
피움(PIUM)-지스트 발전재단, 과학 꿈나무 위해 도서 기증
지스트 사회공헌단 ‘피움(PIUM)’과 (재)지스트 발전재단이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전남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에 과학 분야 도서를 기증했다. 지스트 사회공헌단은 지난 2003년부터 매년 지역아동센터 및 소외지역 초등학교에 과학 분야 도서를 기증해왔으며, 2017년부터는 (재)지스트발전재단과 함께 기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전남 화순 청풍초등학교, 담양 남면초등학교, 장성 삼서초등학교 등 전남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 3곳에 총 600만원 상당의 과학도서를 전달했다.
GIST PRESS, <교수님, 이거 시험에 나와요?> 출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사(Princeton University Press)에서 발행한 <Will this be on the test?>의 번역서가 GIST PRESS를 통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사소하지만 꼭 필요한 대학 생활 조언은 물론 학문을 위한 관계 형성 방법, 미래를 위한 능력 개발 방향 등을 대학교수의 관점에서 일러준다. 예비 대학생 및 신입생들에게 대학 생활의 성공과 대학 이후 성공적인 삶을 위한 길라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